카지노 슬롯

제약·바이오 매출원가비율 0.6%p 상승…개선보다 부진 '多'

1곳 제외한 91개사 중 매출원가비율 개선 37곳, 부진 54곳
매출원가비율 30% 이하 4곳…68개 업체가 30~70% 몰려있어
70% 초과 업체도 19곳 존재…매출 늘어도 수익성 확보 한계

이정수 기자 ([email protected])2024-05-21 05:58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매출원가비율이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소폭 상승했고, 매출원가 부담이 늘어난 업체가 더 많았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1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매출원가가 없는 에이비엘바이오를 제외한 91개 업체 매출원가비율은 57.2%로 전년 동기 56.6% 대비 0.6%p(포인트) 증가했다.

91개 업체 총 매출원가는 4조9214억원으로 전년 동기 4조3803억원 대비 12.4% 늘어났다. 이는 같은 기간 총 매출액이 11.1% 증가한 것보다 1.3%p 높다.

제약·바이오 업계가 외형적 성장을 이루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매출원가가 이보다 더 크게 늘어난 셈이다. 성장을 이루더라도 매출원가비율이 높아지면, 수익성은 낮아지고 매출원가에 대한 부담은 커지게 된다.

제약·바이오 업계 매출원가비율은 지난 수년간 55~60% 사이에서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2010년 이전만 하더라도 50% 미만을 유지했었으나, 여러 약가인하 제도나 원료 가격 상승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2010년대에 접어들어선 이후에는 55%를 넘어섰다.

현재는 소강 상태다. 메디파나뉴스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2022년 1분기에는 57.8%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1분기에는 56.6%로 소폭 낮아진 후 올해 1분기에 재차 증가했다. 이는 최근 수년 동안 2%p 범주 내에서 정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방증한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원가비율을 개선하는 데 성공한 업체는 37곳, 매출원가비율이 늘어난 업체는 54곳이었다. 매출원가 부담이 커진 업체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다. 이는 같은 기간 66개 업체가 매출을 늘리는 데 성공했던 분위기와는 대조된다.

업체별로 가장 낮은 매출원가비율을 나타낸 곳은 에스케이바이오팜으로 10.5%였다. 전년 동기 6.5% 대비 4%p 늘었지만, 여전히 업계에서 1위 자리를 지켰다. 이는 매출원가비율 30% 이하인 사례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에스케이바이오팜을 포함해 매출원가비율이 30% 이하인 업체는 바이오니아, 휴젤, 이수앱지스 등을 더해 총 4곳이고, 그마저도 나머지 3곳은 매출원가비율이 20%대로 에스케이바이오팜과 크게 차이난다.

특히 에스케이바이오팜은 전년 동기 대비 87.5% 증가한 1140억원 매출을 기록하면서 급성장 중에 있다. 급성장에도 지극히 낮은 10%대 매출원가비율을 유지하는 것은 높은 재무 안정성과 투자기반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대다수인 68개 업체가 30~70% 사이에 몰렸다. 그 중에서도 30~50%대에는 31곳, 50~70%대에는 37곳으로, 50~70%대가 조금 더 많았다.

한미약품, 대웅제약, HK이노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보령, 종근당, 유한양행 등 매출 상위사 대부분도 이 범주에 포함됐다.
70% 이상인 업체는 총 19곳이었고, 이 중에서도 10곳이 70%대였다. 나머지 9곳 중 5곳이 80%대, 4곳이 90%대였다. 매출 상위권으로 꼽히는 광동제약은 올해 1분기에 매출원가비율이 80%대를 넘기면서 타 상위권 대비 취약한 수익성을 나타냈다.

알피바이오는 올해 1분기 매출액 325억원, 매출원가 307억원으로 매출원가비율이 94.6%였다. 이는 91개 업체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1분기 92.7%였음에도 이보다 더 늘어나면서 부담은 더욱 커졌다.

이에 반해 SK바이오사이언스(-19.9%p)와 그린생명과학(-38.4%p)은 매출원가비율을 크게 낮춰 70%대까지 진입하는 데 성공하며 두각을 드러냈다.

한편, 원료의약품 중심 기업, 필수의약품인 수액제 비중이 높은 기업, 원료수급이 까다로운 혈액제제 혹은 백신 등에 주력하는 기업, 타 제약사 상품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 등은 매출원가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관련기사보기

제약·바이오, 수익성 하락세…매출 상하위권 전반에서 나타나

제약·바이오, 수익성 하락세…매출 상하위권 전반에서 나타나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매출 증가에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영업이익률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는 매출 상위권에서도 영업이익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미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과감한 투자 등이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1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총 매출액은 8조6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매출 순항…영업익 대폭 하락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매출 순항…영업익 대폭 하락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올해 1분기에도 제약·바이오 업계는 외형적 성장을 이어갔지만, 영업이익 면에서 큰 부진을 겪은 것으로 확인된다.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2024년도 1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총 매출액은 8조6052억원으로 전년 7조7450억원 대비 11.11% 증가했다. 이는 지난 수년간 연평균 10% 내외 성장을 기록했던 것과 비슷한 수준이

제약·바이오기업 PBR, SK바이오팜 21.1배‥ BPS, 종근당홀딩스 '최고'

제약·바이오기업 PBR, SK바이오팜 21.1배‥ BPS, 종근당홀딩스 '최고'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9) 주가순자산비율(PBR) 지난주 국내 증시는 하락 장세 속에 마감됐다. 코스피는 2일 연속, 코스닥은 3일 연속 하락했다. 지난 3일 코스피(KOSPI)는 글로벌 대형 기술주 실적 호조 및 美 금리 급락 등에 따른 원화 강세로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출발하였으나, 기관의 매도세 출회로 경기순환주 중심으로 약세를 보이더니 상승폭이 축소되고, 하락 전환하며 마감됐다. 또 코스닥(KOSDAQ)도 전일 나스닥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출발하였으나

PER, 한국파마 2341배 '최고'‥한올 504배, SK바사 197배 順

PER, 한국파마 2341배 '최고'‥한올 504배, SK바사 197배 順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8) 주가수익비율(PER) 지난 26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코스닥 모두 전일대비 하루만에 상승 기류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KOSPI)는 전일 해외증시 하락에도 미국의 시간외 대형기술주 실적호조 등으로 상승 출발했고,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상승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금융업 +3.2%, 보험업 +2.6%, 증권 +2.1%, 의료정밀 +2.0% 올랐다. 코스닥(KOSDAQ)은 전일 나스닥 하락에도 반도체주 중심으로 기관 매수세가 유입되며 역시 상승 마감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